일차적으로 미국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의 도발입니다.
‘포스트 차이나 인도와 지난해 한국의 최대 무역 흑자국으로 떠오른 베트남을 위시한 아세안 그리고 중동 등으로 대외 통상과 투자의 다변화를 통한 경제 영토 확장에 더 속도를 높여야 할 시점이다.국제금융 파워에서 중국은 달러 기축통화 체제를 기반으로 한 미국의 압도적 지위와 거리가 멀다.
우리는 무엇보다 대외 환경변화에 당당히 대처해 나갈 경제·안보 역량을 키워야 한다.중국의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중국의 경제적 위상 약화 신호로 읽힌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오래전 필자가 세계은행 재임 시절 베트남 출장 중 만난 현지 고위 당국자의 말이다.
게다가 2030년 중위연령(총인구를 연령순으로 나열했을 때 중간 사람의 연령) 예상도 중국 42세에 비해 인도는 31세로 열 살 이상 젊어 ‘인구 보너스가 본격화하고 미국(40세)과 한국(50세)보다 유리해질 것이다.글로벌 역학 구도 변화 속에 살길은 국가 경쟁력 강화다.
베트남 등 상당수 국가와 영토 분쟁에 휘말려 있다.
지정학적 측면에서 미국은 태평양과 대서양을 품고 우호적인 두 나라(캐나다와 멕시코)와 접하고 있는 반면에 14개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중국은 일본.이 비용은 결국 서울시민이 내게 된다.
노인 인구의 급증은 재정 부담 악화를 뜻한다.7%)의 고령화율을 추월한다.
노인 인구 급증으로 손실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그러나 액수가 워낙 크기 때문에 엄두를 못 내는 것 같다.